안녕하세요, 장르만케미칼입니다.
이 글을 읽기 전에 구독, 꼭 눌러주세요! 장르만케미칼은 화학 산업의 핵심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채널입니다. 특히, 빠르게 변화하는 국내외 화학·반도체·소재 시장의 트렌드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주 2회 메일링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메일링 서비스 신청 방법
📌 phs3707@gmail.com으로 메일을 보내주세요.
📌 최신 화학 시장 정보, 주요 원자재 가격 동향, 글로벌 트렌드 분석을 정리해 보내드립니다.
📌 무료 제공 서비스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장르만케미칼입니다.
3월 3주 유가 및 환율 동향 분석 – WTI 유가 +1.61%, 환율 +0.82% 상승
이번 주 국제 유가와 환율은 글로벌 공급망 이슈와 미국 통화정책, 주요 경제지표의 결과에 따라 민감하게 움직였습니다. 특히 원유 시장에서는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OPEC+의 정책 전망, 미국 내 정제시설 가동률 변화가 가격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한편, 외환 시장에서는 미국 연준의 금리 정책 기조 변화 가능성, 미 국채 금리 상승, 외국인 투자 흐름이 환율을 좌우하였습니다.
1. 유가 및 환율 총평
이번 주 WTI 유가는 전주 대비 +1.61% 상승하며 68.28달러/배럴에 마감되었습니다. 주 초반 중국의 산업생산 성장률이 전월 대비 0.8% 하락하며 유가 하락 압력이 있었으나, 미국 정유공장 가동률이 2주 연속 상승(+2.5%)하면서 수요 회복 기대감이 커졌고, 러시아 원유 수출 차질(주간 수출량 -3.2%)이 공급 축소 우려를 자극해 유가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전주 대비 +0.82% 상승하여 1,468.50원으로 마감되었습니다.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4.19%에서 4.44%로 상승(+0.25%p)하였으며, 이는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 지연 가능성을 반영한 것입니다. 여기에 외국인 주식 순매도 규모가 한 주간 3.2조 원에 달하며 원화 약세 요인이 되었습니다
2. 국제 유가 동향
3월 17일(월) – 67.58 USD (+0.60%)
미국 정유공장 가동률이 +2.5% 증가하며 원유 수요가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작용하였습니다. 다만, 중국 2월 산업생산 증가율이 전월 대비 -0.8% 하락하며 원유 소비 둔화 우려가 남아있어 상승폭이 제한되었습니다.
3월 18일(화) – 66.90 USD (-1.00%)
중국 2월 산업생산 증가율이 전월 대비 0.8% 하락, 수출입 모두 부진한 수치를 보이면서 글로벌 수요 둔화 우려가 유가를 끌어내렸습니다. 여기에 미국 원유 재고가 전주 대비 5.8백만 배럴 증가한 것이 공급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였습니다.
3월 19일(수) – 67.16 USD (+0.39%)
전일 하락했던 유가는 소폭 반등하였습니다.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확대되면서 공급 차질 가능성이 부각되었고, 이에 따라 투자 심리가 개선되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미국 경기 둔화 전망이 지속되면서 상승폭은 제한되었습니다.
3월 20일(목) – 68.26 USD (+1.64%)
이날 유가는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하였습니다. 미국 정유 공장의 가동률이 증가하면서 원유 수요 확대 기대감이 커졌고, 러시아 원유 공급 차질 우려가 시장에 반영되며 가격을 지지하였습니다.
3월 21일(금) – 68.28 USD (+0.03%)
주 후반 유가는 보합세를 유지하였습니다. 미국 경제 지표가 예상보다 양호하게 발표되면서 원유 수요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하였으나, 연준의 정책 방향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시장은 방향성을 모색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주간 기준 유가 변동률: +1.61%
📈 OPEC+ 감산 전망과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유가는 상승세를 유지하였습니다.
장르만 케미칼 라이브 특가 할인
인체공학적 칫솔대와 독일 페덱스 필라멘트로 제조 및 특수 가공된 엠보싱 롱칫솔와 일반 칫솔 헤드로 양치를 더욱 개운하게 할 수 있습니다.
https://view.shoppinglive.naver.com/shortclips/6655207
[숏클립할인]롱칫솔 엠보싱 페덱스 칫솔
지앤씨 상사의 숏클립 보기
view.shoppinglive.naver.com
3. 원/달러 환율 동향
3월 17일(월) – 1,444.60원 (-0.81%)
전일 대비 11.8원 하락(-0.81%)하며 출발한 환율은 외국인 투자자들이 주식 순매수 1.1조 원을 기록하며 원화 강세 요인이 되었고, 시장에서는 3월 FOMC 이전 관망심리가 형성되었습니다.
3월 18일(화) – 1,451.40원 (+0.47%)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 +3.2%**로 발표되며 인플레이션 압력이 예상보다 크지 않다는 평가에 따라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일시적으로 되살아났지만, 외국인 순매도 1.2조 원 전환으로 환율은 반등하였습니다.
3월 19일(수) – 1,463.60원 (+0.84%)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4.44%(+0.18%p), 미국 소매판매 +2.1% 증가(예상치 +1.5%)라는 강력한 지표가 나오며 달러 강세 흐름이 강화되었고, 환율은 1,463.60원으로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3월 20일(목) – 1,468.00원 (+0.30%)
위험자산 회피 심리 강화, 외국인 투자 이탈 흐름이 지속되며 환율은 1,468.00원까지 상승하였습니다. 미국 내 주택착공건수 증가(+9.8%)도 경제 회복 기대를 키우며 달러 수요를 끌어올렸습니다.
3월 21일(금) – 1,468.50원 (+0.03%)
주 후반에는 미국 연준 위원들이 “2024년 중반까지 금리 인하 필요 없음”이라는 발언을 잇달아 내놓으면서 환율은 1,468.50원에서 보합 마감하였습니다.
▶ 주간 기준 환율 변동률: +0.82%
📈 미국 국채 금리 상승 및 연준 긴축 기조 유지 가능성으로 인해 원/달러 환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습니다.
4. 다음 주(3월 24일~3월 29일) 전망
✅ 유가 전망
OPEC+ 감산 정책 유지 여부와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가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 원유 재고 증가 여부에 따라 추가 하락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예상 변동 범위: 67.50~70.00달러
✅ 환율 전망
미국 경제 지표 발표 및 연준(Fed)의 정책 변화 가능성이 환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외국인 투자 흐름과 글로벌 증시 변동성에 주목해야 합니다.
예상 변동 범위: 1,460~1,475원
'화학산업관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세계석유화학회의(WPC) 주요 이슈 요약, 화학산업, 지속 가능한 미래 위해 실용성과 혁신의 균형이 핵심 (4) | 2025.03.23 |
---|---|
[3월3주 케미칼인사이트]LG에너지솔루션, BYD 기술 견제 및 북미 배터리 수주 확대, 전고체 배터리 LFP를 대체할 차세대 솔루션인가 (4) | 2025.03.23 |
계엄령의 혼돈 속, 서울의 봄과 함께 시작된 대한민국 석유화학의 시대 (4) | 2025.03.21 |
저생산성 증후군에 빠진 한국 화학산업, 『채영복과 정밀화학의 개척자들』이 제안하는 돌파구 (2) | 2025.03.20 |
[3월 2주 화학제품 가격 동향]미국 관세 한방에 화학 시장 휘청!벤젠 4주 연속 폭락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