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장르만케미칼입니다.
이 글을 읽기 전에 구독, 꼭 눌러주세요! 장르만케미칼은 화학 산업의 핵심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채널입니다.
특히, 빠르게 변화하는 국내외 화학·반도체·소재 시장의 트렌드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주 2회 메일링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메일링 서비스 신청 방법
📌 phs3707@gmail.com으로 메일을 보내주세요.
📌 최신 화학 시장 정보, 주요 원자재 가격 동향, 글로벌 트렌드 분석을 정리해 보내드립니다.
📌 무료 제공 서비스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월 4주 유가 및 환율 동향 분석
오늘은 국제 유가 및 원/달러 환율 변동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겠습니다. 최근 국제 유가는 공급 불확실성과 글로벌 경기 회복 기대감 속에서 변동성을 보이며 등락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반면, 원/달러 환율은 미국 경제 둔화 신호와 외국인 투자 증가로 인해 상승세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번 주(2월 24일~28일) 유가 및 환율의 흐름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시장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1. 유가 동향 분석
📌 2월 24일 (월) – 70.7 USD (+0.42%)
- 러시아 원유 공급 차질 우려: 우크라이나 드론 공격으로 러시아 CPC 송유관 손상, 카자흐스탄 원유 수출 차질 우려 증가.
- 미국 정유 공장 가동률 유지: 미국 내 정유 공장 가동률 84.9% 유지로 원유 수요 증가 기대 지속.
- 미국 달러 약세: 연준의 금리 동결 가능성 확대 → 달러 가치 하락, 원유 가격 상승 요인.
📌 2월 25일 (화) – 68.93 USD (-2.50%)
- 미국 원유 재고 증가 전망: 시장 예상치 +310만 배럴이었으나, EIA 발표 결과 +463만 배럴 증가, 공급 과잉 우려 확대.
- 유럽 경제 둔화 신호: 독일과 프랑스 제조업 PMI가 50 이하로 하락하며 경기 둔화 가능성 증가.
- 미국 소비 둔화: 미국 소매판매 -0.9%(예상 -0.2%) 감소, 원유 수요 감소 우려 확대.
📌 2월 26일 (수) – 68.62 USD (-0.45%)
- 유럽 경기 둔화 지속: 유로존 2월 제조업 PMI **48.5 (예상 50.5)**로 경기 둔화 신호 지속.
- 미국 달러 강세 전환: 미국 국채 금리 상승 4.05% → 4.10%, 달러 강세로 유가 하락.
- 미국 원유 생산 증가 전망: 셰일오일 생산이 예상보다 빠르게 증가하며 공급 과잉 우려 확대.
📌 2월 27일 (목) – 70.35 USD (+2.52%)
- 미국 정유 공장 가동 증가: 미국 남부 정유 시설 가동률 **85.2%**까지 상승하며 원유 수요 회복 기대감 증가.
- 러시아 원유 수출 차질 지속: 우크라이나의 추가 공격으로 러시아 원유 수출 제한 가능성 대두, 공급 차질 우려.
- OPEC+ 감산 지속 가능성 확대: 감산 연장 가능성 증가로 투자 심리 개선.
📌 2월 28일 (금) – 69.72 USD (-0.59%)
- 미국 원유 재고 예상보다 높은 증가: 시장 예상치 +310만 배럴보다 많은 +463만 배럴 증가, 공급 과잉 우려 지속.
- 미국 경제 둔화 신호 지속: 연준이 경기 둔화를 인정하며 원유 수요 감소 가능성 커짐.
- 미국 국채 금리 상승 지속: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 4.10% → 4.15% 상승, 달러 강세로 유가 하락 압력 작용.
▶ 총평
📉 공급 증가 우려와 경기 둔화로 인해 유가는 주간 기준 -0.92% 하락.
2. 환율 동향 분석
📌 2월 24일 (월) – 1,430.10원 (-0.23%)
- 미국 국채 금리 하락: 10년물 국채 금리 하락으로 달러 약세 요인 발생.
- 위험자산 선호 확대: 글로벌 증시 상승과 함께 원화 강세 지속.
📌 2월 25일 (화) – 1,434.00원 (+0.27%)
- 미국 경제 지표 부진: 제조업 지표 예상보다 부진했으나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달러 강세.
- 외국인 투자 둔화: 한국 시장에서 외국인 매수세 감소로 원화 약세.
📌 2월 26일 (수) – 1,433.40원 (-0.04%)
- 연준(Fed) 정책 발표 앞두고 시장 관망세 유지.
- 미국 국채 금리 변동성 제한적.
📌 2월 27일 (목) – 1,446.60원 (+0.92%)
- 미국 경제 지표 예상보다 양호 → 달러 강세 전환.
- 연준 긴축 유지 가능성 확대 → 환율 상승.
📌 2월 28일 (금) – 1,460.00원 (+0.93%)
- 미국 금리 인상 가능성 재부각 → 연준 위원들 긴축 유지 필요성 강조.
- 위험자산 회피 심리 확산 → 달러 강세 지속.
▶ 총평
📈 미국 연준 긴축 기조 유지 전망으로 환율 주간 기준 +1.82% 상승.
3. 다음 주(3월 3일~3월 8일) 전망
✅ 유가 전망
- OPEC+ 감산 정책 유지 여부와 러시아 원유 공급 상황이 핵심 변수.
- 미국 원유 재고 증가 여부에 따라 추가 하락 가능성 존재.
- 예상 변동 범위: 68.50~71.50달러.
✅ 환율 전망
- 미국 경제 지표 발표 및 연준(Fed) 정책 변화 가능성이 환율에 중요한 영향.
- 외국인 투자 흐름과 글로벌 증시 변동성에 주목.
- 예상 변동 범위: 1,450~1,470원.
📩 장르만케미칼 메일링 서비스 안내
최신 화학·반도체·소재 산업 정보를 주 2회 메일로 받아보세요!
✔ 신청 방법: phs3707@gmail.com으로 메일 보내기 (무료 제공)
🔔 구독 설정!
더 많은 산업 인사이트를 원하신다면 구독 설정도 잊지 마세요!
'화학산업관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배 막힌다! 한국 화학산업의 새로운 기회인가? (0) | 2025.03.03 |
---|---|
롯데케미칼, 인도네시아는 신규 가동하고 대산공장은 중단하고! (6) | 2025.03.02 |
손소독제 원료가 없으면 반도체 생산이 불가능하다! 공급과잉 IPA 이야기와 국내 산업에 대해서 (12) | 2025.02.28 |
🚀 LG vs 금호 싸움에 롯데까지 참전! 네일 리무버부터 산업까지, 한국 아세톤 전쟁의 서막! (2) | 2025.02.27 |
내분비교란물질 BPA 합성 과정부터 사용법까지! 모든 것을 알아보자 (2) | 202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