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산업관련 이야기

페놀, 독성 물질? 아니, 아스피린과 병원 살균제를 만든 혁신의 화학물질!

장르만케미칼 2025. 2. 21. 10:04
반응형
SMALL

 

👨‍⚕️ "19세기, 병원에서는 수술 후 감염으로 인해 많은 환자들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당시 의사들은 맨손으로 수술하고, 도구는 제대로 소독되지 않았죠."

⚠️ "그런데 한 외과의사가 수술 도중 희뿌연 액체를 붓고 있습니다. 이 액체는 강한 냄새를 풍기며 주변을 흥건하게 적십니다. 바로 페놀(카르볼산)입니다."

🎤 "이 사람, 영국 외과의사 조지프 리스터(Joseph Lister). 그는 페놀을 최초로 수술 소독에 사용하며 의료계를 혁신했습니다."


[1. 페놀의 발견: 석탄 타르에서 탄생하다]

🔬 "그렇다면 페놀은 어디서 온 걸까요?"

📢 "페놀의 역사는 1834, 독일 화학자 프리드리히 푀플(Friedrich Ferdinand Runge)이 석탄 타르(Coal Tar)에서 새로운 화합물을 추출하면서 시작됩니다."

💡 "그는 이 물질이 독특한 냄새를 가지고 있으며, 강력한 살균 효과를 지닌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그래서 이 물질을 '카르볼산(Carbolic Acid)'이라고 부르게 됩니다."

📢 "당시에는 정확한 용도를 몰랐지만, 이후 여러 연구를 거쳐 의학과 산업에서 핵심 물질로 자리 잡게 되었죠!"


[2. 조지프 리스터와 페놀 소독법: 감염과의 전쟁]

📢 "19세기까지 병원에서는 감염 예방 개념이 거의 없었습니다. 환자들은 수술 후 감염으로 인해 더 많이 사망했어요."

👨‍⚕️ "하지만 리스터는 루이 파스퇴르(Louis Pasteur)의 세균 이론을 접한 후, 감염을 막을 방법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 "그는 페놀의 강력한 살균 효과에 주목했고, 이를 수술 도구와 의료진의 손 소독에 활용하기 시작했습니다."

⚠️ "하지만 의료진이 맨손으로 페놀을 사용하다 보니 손이 빨갛게 부어오르고 갈라지는 등 피부 손상이 심각했죠."

📈 "하지만 이 방법 덕분에 병원 감염률이 급격히 감소했고, 페놀 소독법은 현대 무균 수술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3. 공업용 페놀의 발전: 의료를 넘어 산업으로]

⚙️ "페놀은 살균제로서 엄청난 역할을 했지만, 곧 더 큰 산업적 가치를 가지게 됩니다."

📢 "1870년대, 화학자들은 페놀을 이용해 '아스피린(Aspirin)'을 개발했고, 이는 현대 의학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진통제로 자리 잡았습니다."

💥 "1차 세계대전이 터지면서, 페놀은 TNT(트리니트로톨루엔) 폭발물의 핵심 원료로 사용되었습니다."

📢 "독일은 전쟁 중 페놀 공급이 막히자, 코카콜라 제조 과정까지 연구하며 사카린(Saccharin)을 활용한 대체 공급원을 찾기도 했죠!"

📢 "이후 20세기에 접어들면서 페놀은 본격적으로 산업의 핵심 원료로 자리 잡게 됩니다."


[4. 공업용 페놀의 제조법]

🎤 "그렇다면 공업적으로 페놀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큐멘 공정(Cumene Process)'입니다."

📌 📌 '큐멘 공정' 과정:
1️
벤젠(Benzene)과 프로필렌(Propylene)을 반응시켜 '큐멘(Cumene)'을 합성
2️
큐멘을 산화시켜 '큐멘 하이드로퍼옥사이드'를 생성
3️
이를 분해하여 '페놀'과 부산물로 '아세톤(Acetone)'을 얻음

📢 "이외에도 여러 대체 공법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 📌 '기타 페놀 제조 공법'

  • 톨루엔 공정(Toluene Oxidation Process): 톨루엔을 산화해 벤조산을 만들고, 이를 탈카복실화하여 페놀을 얻음
  • 다이렉트 옥시데이션 공정(Direct Oxidation Process): 벤젠을 직접 산화하여 페놀을 얻는 방식, 친환경적이지만 상업화는 미흡
  • 벤젠 하이드록실화 공정(Benzene Hydroxylation Process): 과산화수소(H₂O₂)와 촉매를 사용해 벤젠을 직접 하이드록실화하는 기술

📢 "현재는 큐멘 공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새로운 공법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5. BPA(비스페놀 A)의 등장: 플라스틱 산업의 혁명]

📢 "1930년대, 화학자들은 페놀을 원료로 한 또 다른 중요한 화합물 '비스페놀 A(BPA)'를 개발했습니다."

📢 "BPA는 플라스틱과 폴리카보네이트(PC) 생산의 핵심 원료가 되어, 우리 생활 곳곳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 "다음 이야기에서는 BPA가 플라스틱 산업을 어떻게 변화시켰으며, 논란이 되고 있는 부분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기대해주세요!" 🚀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