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산업관련 이야기

[3월 3주 화학제품 가격 동향]글로벌 수급 불균형, 화학제품별 전망은?

장르만케미칼 2025. 3. 25. 07:00
반응형
SMALL

 

2025년 3월 3주  세계 화학 시장

 

안녕하세요, 장르만케미칼입니다. 이 글을 읽기 전에 구독, 꼭 눌러주세요! 

장르만케미칼은 화학 산업의 핵심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채널입니다. 특히, 빠르게 변화하는 국내외 화학·반도체·소재 시장의 트렌드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주 2회 메일링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메일링 서비스 신청 방법
📌 phs3707@gmail.com으로 메일을 보내주세요.
📌 최신 화학 시장 정보, 주요 원자재 가격 동향, 글로벌 트렌드 분석을 정리해 보내드립니다.
📌 무료 제공 서비스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3월 3주 화학제품 가격 동향

 

2025년 3월 3주  세계 화학 시장은 제품별·지역별로 상이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아시아 에틸렌과 프로필렌은 약세가 지속되며, 부타디엔은 거래 의견차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벤젠과 톨루엔은 수요 부진으로 하락세를 보인 반면, 자일렌은 보합세를 유지했습니다.글로벌 아디픽산과 DEG는 지역별로 상반된 흐름을 나타냈으며, 메탄올과 NPG는 서구 시장 중심으로 상승세가 관찰되었습니다. 하이드로퀴논과 파라 아미노페놀은 공급 제약과 강한 수요로 가격 급등세를 보였습니다.
인도네시아는 팜유 수출 확대를 통해 식물유 시장 판도를 재편하고 있으며, 미국 아세트산 시장은 가격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전체적으로는 원료비, 물류, 정책, 수요 변화가 가격에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제품별 수급 균형 조정이 주요 이슈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아시아 에틸렌 시장은 전반적으로 약세

 

[아시아 에틸렌 시장, 약세 속 하락폭 둔화]

아시아 에틸렌 시장은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였으나, 최근 2주간에 비해 가격 하락폭은 다소 둔화되었습니다. 중국에서는 지속적인 수요가 있었지만, 주요 항구보다는 국내와 수입 간 차익거래를 노리는 수요가 주를 이뤘습니다. 동북아(NEA)에서는 한국산 물량 거래가 주도적이었고, 일본산 미판매 물량 일부는 여전히 시장에 잔존하고 있습니다. 동남아(SEA)에서는 가격이 약보합세를 나타냈으며, 인도네시아 등 일부 지역은 이미 수요를 충족시켜 현재는 구매 의사가 제한적인 상황입니다.

 

[NEA·SEA 프로필렌 시장, 공급 불안 속 약보합세 유지]

NEA 지역은 대만 CPC의 RFCC 설비 가동 중단으로 수요가 일시 증가했으나, 시장은 전반적으로 약보합세를 나타냈습니다. 일부 구매업체는 수입 대신 국내 물량을 선택했으며, NEA의 PP 생산 마진은 톤당 -86달러로 여전히 부진합니다. 중국 SECCO는 ACN 가격을 톤당 100위안 인하했고, fob Korea 기준 가격도 수요 약세로 인해 하락 압력을 받았습니다. SEA 지역은 스팟 공급이 타이트한 가운데 수요는 약세였지만, 전반적으로 가격은 보합세를 유지했습니다. 싱가포르에서도 국내 물량으로 수요를 커버하면서 수입 의존도는 낮아지는 추세입니다.

 

장르만케미칼의 국내 최저가 라이브 쇼핑몰 - 거북목 방지와 편안한 숙면을 책임지는 에어코일 목베개

https://view.shoppinglive.naver.com/shortclips/8082803

 

[벤젠 시장 5주 연속 하락 글로벌 수요 부진 지속]

2025년 3월 21일 기준 fob Korea 벤젠 가격은 5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으며, 이는 유도품 수요 부진과 글로벌 공급 과잉이 주요 원인입니다. 미국 무역 정책 변화로 한국의 對미국 수출량도 전년 대비 절반가량 감소한 3만8093톤으로 축소되었습니다. 유럽은 유도품 공장 유지보수에도 공급이 충분했고, 중국행 유럽산 벤젠 물량 논의도 있었습니다. fob SEA는 한국 대비 20~25달러 낮았고, cfr SEA는 보합에서 5달러 프리미엄 수준을 보였습니다.

 

[부타디엔 시장, 타이트한 공급 예상 속 거래 의견차 지속]

2025년 3월 21일 기준 아시아 부타디엔 시장은 구매자와 판매자 간 좁은 가격 레인지에서 의견차가 이어졌으며, 거래는 제한적이었습니다. 당초 예상된 공급 타이트 상황과 달리, 4월 인도분 스팟 물량이 대거 시장에 유입되며 균형이 흔들렸습니다. 대부분의 구매업체는 4월 물량을 이미 확보했고, 위안화 가치 변동 등으로 인해 보수적인 구매 태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판매업체들도 제한된 생산 여건 속에서 큰 폭의 가격 인하는 꺼리는 분위기입니다.

 

아시아 솔벤트 자일렌(MX) 시장은 전반적으로 보합세

 

[솔벤트 자일렌 시장, 보합세 지속]

2025년 3월 21일 기준 아시아 솔벤트 자일렌(MX) 시장은 전반적으로 보합세를 보였습니다. 한국은 거래 부진으로 약세 압력을 받았고, 중국은 내수 강세 반영으로 수입 지표가 상승했습니다. SEA 수입 시장은 달러 강세와 수요 부진으로 인해 거래가 제한적이었으며, 구매의사는 톤당 730~750달러였으나 판매업체들은 해당 가격 수준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전반적으로 시장은 레인지 바운드 내에서 정체된 양상을 보였습니다.

 

[톨루엔 시장, 수요 약세와 생산 스프레드 악화로 하락세]

아시아 톨루엔 시장은 솔벤트 수요 부진과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로 약세가 이어졌습니다. 대만 CPC는 스팟 판매를 중단하고 미국향 기간 공급에 집중하면서 공급 방향을 전환했으며, 중국산 수출 물량도 수요 부진으로 타격을 입었습니다.
생산 측면에서는 벤젠·자일렌 간 스프레드 악화로 수익성이 낮아졌고, SEA 지역은 수요 부진으로 스팟 수입 수요가 위축되었습니다. 시장 거래는 cfr SEA 기준으로 톤당 700달러 후반대에서 논의되었습니다.

 

[글로벌 아디픽산 시장, 지역별로 상반된 흐름 보여]

2025년 3월 초 아디픽산 시장은 지역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습니다. 중국은 공급 과잉과 자동차 산업 부진으로 가격 하락 압력이 지속되었고, 단기 회복 가능성은 낮습니다. 독일은 공급 부족과 수요 회복 조짐으로 소폭 상승했으며, 유로존 수출 개선이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 중입니다. 미국은 안정적인 공급과 자동차 수요로 균형을 유지했으나, 무역 정책 불확실성은 향후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파라 아미노페놀, 제약 수요와 공급 제약 속 가격 급등]

2025년 3월 현재 파라 아미노페놀(PAP) 가격은 2월부터 이어진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이는 만성적인 수급 불균형과 제약 수요 강세에 기인합니다. 특히 파라세타몰의 핵심 전구체로서 약국·산업 수요가 견조한 가운데, 중국 생산업체들은 춘절 이후 수요 회복을 의식한 공급 조절 전략으로 물량을 제한했습니다. 에너지·원료 비용 상승과 물류 병목 현상, 중국과 인도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중동 수입국 상황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글로벌 가격 인상이 이어질 전망입니다. 구매자는 재고 확보에 제약을 받으며, 판매자가 가격 협상에서 우위를 유지하는 상황입니다.

 

유럽 메탄올 가격은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전역에서 물류 병목과 원료 천연가스 가격 상승 영향

 

[유럽 메탄올 시장, 공급망 혼란과 원료비 상승으로 가격 급등]

2025년 3월 상반기 유럽 메탄올 가격은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전역에서 물류 병목과 원료 천연가스 가격 상승 영향으로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프랑스는 항구 파업과 수요 부진 속에서도 공급 차질로 가격 상승 압력을 받았으며, 독일 역시 터미널 혼잡과 생산비 상승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네덜란드도 터미널 자동화 및 노동력 부족으로 물류 효율이 악화되면서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전체적으로 코팅·의약 분야 수요는 제한적인 가운데 공급 이슈가 가격 상승을 주도하는 구조입니다.

 

[글로벌 DEG 시장, 지역별 수급 여건 따라 혼조세]

2025년 3월 상반기 DEG(디에틸렌 글리콜) 시장은 지역별로 상반된 흐름을 보였습니다. 미국과 유럽은 원재료인 에틸렌 옥사이드 가격 하락과 자동차·코팅 수요 부진으로 각각 2.08%, 1.62% 하락세를 기록하며 약세를 나타냈습니다. 반면, 중국은 자동차 산업 회복과 함께 DEG 수요가 강세로 전환되어 가격이 상승했으며, 2월 자동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34.4% 급등했습니다. MEA 지역에서도 라마단 영향 등으로 가격이 1.4% 상승하며 견조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인도네시아 팜유 수출, 정책 변화로 급증…글로벌 시장 재편]

2025년 3월 인도네시아는 수출세 구조를 재조정해 해외 구매자 비용을 절감하며 팜유 수출을 4개월 만에 정점으로 끌어올렸습니다. 이 전략은 말레이시아보다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공하며 글로벌 수요를 흡수했고, 말레이시아 수출은 수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국내 바이오디젤 의무 혼합제와 식용유 규제 등 내부 수요 부담도 존재하나, 인도네시아는 수출과 내수 간 균형을 유지하며 시장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식물유 시장에서 인도네시아의 지배적 입지는 더욱 확고해지고 있으며, 가격 안정성과 경쟁력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하이드로퀴논 시장, 공급난과 계절 수요로 가격 급등세]

2025년 3월 글로벌 하이드로퀴논(HQ) 시장은 2월부터 이어진 공급 부족과 계절적 수요 증가로 인해 가격이 지속 상승 중입니다. HQ는 피부 미백 화장품, 제약, 폴리머 및 사진 분야에 필수 원료로, 일본과 미국 제조업체는 국내외 수요 급증과 수출 부담으로 공급이 빠듯한 상황입니다. 일본 요코하마항과 미국 LA항의 물류 병목도 공급 차질을 심화시키며 가격 인상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원료 페놀의 가격 상승과 제조 공장 정비 이슈까지 겹치며 HQ 가격은 추가 상승 가능성이 높은 상태입니다.

 

글로벌 네오펜틸글리콜(NPG) 시장은 지역별로 상반된 가격 흐름

 

[글로벌 NPG 시장, 서구 상승세 vs 아시아 정체]

2025년 3월 초 글로벌 네오펜틸글리콜(NPG) 시장은 지역별로 상반된 가격 흐름을 보였습니다. 북미는 포름알데히드 가격 상승과 OQ Chemicals의 가격 인상 발표, 건설 수요 회복 등으로 가격이 상승했으며, 미국 건설 부문은 강한 수요 속 노동력 부족에도 불구하고 활발한 구매 활동을 보였습니다. 반면 아시아 시장은 건설 수요가 완만해 가격은 정체되었고, 인도는 예산안 발표 후 건설 부문 투자 확대 기대감으로 중장기 수요 회복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여름철 건설 수요 확대는 향후 글로벌 가격 상승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미국 아세트산 시장, 수요 감소 속 가격 안정세 유지]

2025년 3월 현재 미국 아세트산 시장은 에너지 및 메탄올 비용 안정, 충분한 재고 수준, 다운스트림 수요 부진에 힘입어 가격이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페인트·코팅·PTA·VAM 등 주요 수요처의 수요 감소와 함께 건설 원자재비 및 인건비 상승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아세트산 생산 공장은 수요에 맞춰 낮은 가동률로 운영되며 공급 균형을 맞추는 중입니다. 정부의 관세 정책은 해외 수요 위축 우려와 함께 내수 확대 기대를 동시에 유발하고 있으나, 당분간 시장은 침체 흐름을 지속할 전망입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