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산업관련 이야기

💡 콘돔과 비행기? 어색하지만 흥미로운 연결고리!

장르만케미칼 2025. 3. 17. 11:07
반응형
SMALL

콘돔과 비행기

안녕하세요, 장르만케미칼입니다.
이 글을 읽기 전에 구독, 꼭 눌러주세요!  장르만케미칼은 화학 산업의 핵심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채널입니다. 특히, 빠르게 변화하는 국내외 화학·반도체·소재 시장의 트렌드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주 2회 메일링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메일링 서비스 신청 방법
📌 phs3707@gmail.com으로 메일을 보내주세요.
📌 최신 화학 시장 정보, 주요 원자재 가격 동향, 글로벌 트렌드 분석을 정리해 보내드립니다.
📌 무료 제공 서비스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콘돔과 비행기의 공통점? 어딘가 어색하지만 흥미로운 연결고리!

💡 콘돔과 비행기의 공통점? 어딘가 어색하지만 흥미로운 연결고리!

콘돔과 비행기는 완전히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만,이 두 제품이 같은 소재로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초박형 콘돔 – 기존 라텍스보다 얇고 강한 소재  ✔ 비행기 부품 – 극한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는 가벼운 소재

두 제품은 사용 목적도, 크기도, 심지어 가격도 전혀 다르지만 놀랍게도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이라는 같은 소재를 기반으로 만들어집니다. 폴리우레탄은 단순히 가볍고 튼튼한 소재가 아니라,특정한 물성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됩니다. 콘돔에서는 얇지만 강한 탄력성을, 비행기에서는 강도와 내열성을 유지하면서도 경량화를 제공합니다. 이처럼 폴리우레탄은 우리 생활 곳곳에서 사용되며,그 핵심 원료가 바로 PPG(폴리프로필렌글리콜, Polypropylene Glycol)입니다. 그렇다면, PPG는 어떻게 개발되었으며, 어떤 과정으로 합성될까요?그리고 PPG의 주요 용도와 산업적 가치는 무엇일까요? 지금부터 PPG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PPG(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역사와 발전

🔹 PPG(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역사와 발전

 

1️⃣ 폴리우레탄과 폴리올의 발전 (1937년~1950년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은 1937년 독일 바스프(BASF)에서 오토 바이엘(Otto Bayer)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습니다.그는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와 폴리올(Polyol)의 반응을 이용하여 고분자 물질을 만드는 방법을 발견했습니다.그러나 당시 폴리올의 품질이 낮아 폴리우레탄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후 1940~1950년대에 미국 DOW Chemical과 BASF가 폴리올 연구를 본격적으로 진행하면서, 폴리우레탄의 상업적 활용이 본격화되었습니다. 폴리올은 폴리우레탄의 성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그 종류에 따라 폴리에테르 폴리올(Polyether Polyol)과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ster Polyol)로 나뉩니다.

1940~1950년대 주요 변화

1940년대에 미국 DOW Chemical과 BASF가 폴리올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

1950년대에 들어서면서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개발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한 폴리우레탄 제품이 본격적으로 상업화됨

즉, 폴리우레탄이 먼저 개발된 것은 맞지만, 이를 상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폴리올(특히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개량된 것입니다

 

2️⃣ PPG(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개발 (1950년대)

PPG는 폴리에테르 폴리올(Polyether Polyol)의 한 종류로, 1950년대에 BASF, DOW Chemical 등이 연구하여 상업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한 폴리올입니다.

PPG 개발의 배경은 기존 폴리에스터 폴리올은 가격이 높고 가공성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습니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필렌옥사이드(PO)를 이용한 개환중합(Ring-Opening Polymerization) 방식으로 PPG가 개발되었습니다.PPG는 폴리우레탄의 유연성과 내구성을 조절하는 주요 원료로 자리 잡았습니다.즉, 폴리우레탄을 만들기 위한 폴리올 연구가 진행되었고, 그 과정에서 PPG가 하나의 주요 폴리올로 개발된 것입니다.


 

🔹 PPG의 주요 용도

PPG는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며, 그 용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자동차 내장재, 시트, 범퍼 탄성과 충격 흡수 기능 강화
CASE 코팅, 접착제, 실란트, 엘라스토머 우레탄 방수제, 산업용 보호 코팅
건설 단열재, 방수재 우레탄폼 단열재, 방수용 우레탄 코팅
LNG 선박 극저온 단열재 -162℃ 환경에서 보온 유지
연질 폼 매트리스, 소파, 쿠션 탄성 유지, 내구성 향상
냉장고 단열 폼 1대당 약 15kg 사용

국내 PPG 시장 현황

🔹 국내 PPG 시장 현황

✅ 국내 PPG 총 생산 능력 (연간)

현재 국내에서 PPG를 생산하는 주요 기업과 생산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업별 연간 생산능력)


KPX케미칼 30만 톤
SK피아이씨글로벌(SK PIC Global, 구 SKC) 23만 톤
금호석유화학(KKPC) 12만 톤
BASF 12만 톤
동남합성 10만 톤
총계 87만 톤

국내에서는 KPX케미칼이 최대 생산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SK피아이씨글로벌, 금호석유화학, BASF, 동남합성도 주요 생산업체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 국내 PPG 내수 수요 ( 산업 분야국내 내수 수요 및 연간사용량 )

 

자동차 5만 톤
CASE (코팅, 방수제, 실란트 등) 6만 5천 톤
건설 5만 톤
LNG 선박 단열재 4만 톤
연질 폼 (매트리스, 가구 등) 5만 톤
냉장고 1대당 약 15kg 사용

✅ 국내 PPG 총 소비량(내수 수요): 25.5만 톤 + 냉장고 단열재


PPG는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인 원료

📌 결론: PPG는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인 원료입니다!

PPG는 자동차, 건설, 코팅, 연질 폼, 냉장고 등 우리 생활 속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인 원료로 사용됩니다.국내 PPG 시장은 생산량이 내수 수요보다 많아, 해외 수출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주요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 개척을 위해 경쟁력을 키우고 있습니다.
앞으로 친환경 PPG, 바이오 기반 폴리올 개발이 중요한 트렌드가 될 것입니다.혹시 PPG 관련 제품이 필요하거나,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문의해 주세요! 언제든 친절하게 도와드리겠습니다. 😊


🔜 다음 이야기: PPG의 원료 '프로필렌옥사이드(PO)' 그리고 그 원료 '프로필렌'

PPG는 프로필렌옥사이드(PO)를 원료로 하며, PO는 다시 프로필렌(Propylene)을 원료로 합니다.
지난번 이야기한 마스크 원료인 PP(폴리프로필렌)도 프로필렌을 기반으로 하며, PPG와 PP 모두 프로필렌을 원료로 사용합니다.

📌 다음 편에서는 PPG의 원료인  프로필렌을 집중 분석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