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산업관련 이야기

🚀 LG vs 금호 싸움에 롯데까지 참전! 네일 리무버부터 산업까지, 한국 아세톤 전쟁의 서막!

장르만케미칼 2025. 2. 27. 15:14
반응형
SMALL

한국 아세톤 대전쟁

 

"여러분, 안녕하세요! 장르만케미칼과 함께하는 화학 이야기, 오늘의 주제는 '아세톤'입니다! 우리가 네일 리무버나 페인트 제거제로 흔히 접하는 아세톤, 하지만 이것이 단순한 용매가 아니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사실 아세톤은 반도체, 자동차, 화장품, 페인트 등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아세톤은 언제, 어떻게 발견되었고, 현재 어떻게 활용되고 있을까요? 지금부터 함께 알아보시죠!"


🎬 1. 아세톤의 역사와 발견

"아세톤의 역사는 1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 초기 연구

"17세기 후반, 과학자들은 목재를 고온에서 태우는 건류(Dry Distillation) 과정에서 얻어진 액체를 분석하다가 아세톤을 발견했어요. 목재를 가열하면 여러 가지 휘발성 물질이 생성되었는데, 이 중 투명하고 휘발성이 강한 액체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죠."

"이후 과학자들은 이 휘발성 물질을 분리하고 실험을 거듭하면서 아세톤이라는 새로운 화합물을 규명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아세톤이 유기 용매로서 강한 용해력을 가지며, 기름과 수지 등의 물질을 쉽게 용해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혀졌어요."

"프랑스의 화학자 장 바티스트 뒤마(Jean-Baptiste Dumas)가 아세톤의 화학 구조를 밝혀냈고, 독일의 요한 볼프강 되베라이너(Johann Wolfgang Döbereiner)는 아세톤을 실험적으로 분리하고 연구를 심화했습니다."

📌 산업적 생산의 발전

"아세톤이 산업적으로 크게 주목받은 것은 20세기 초, 1차 세계대전 때였습니다."

"영국의 화학자 채터웨이(Chaim Weizmann)는 발효 공정을 개발하여 아세톤을 대량 생산하는 기초를 마련했어요. 전쟁 중 화약 제조에 필요한 물질로 사용되었기 때문이죠. 이후 1930년대부터는 이소프로판올(IPA) 산화 공정을 통해 아세톤을 대량 생산하는 방법이 개발되었고, 20세기 후반에는 큐멘 공정(Cumene Process)이 등장하면서 더욱 효율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했습니다."

아세톤 용도


🎬 2. 아세톤의 제조법

"아세톤은 다양한 방법으로 생산될 수 있는데, 대표적인 세 가지 제조법이 있습니다."

📌멘 공정(Cumene Process)

  • 벤젠과 프로필렌을 반응시켜 쿠멘을 합성한 후, 산화 및 가수분해하여 아세톤과 페놀을 동시 생산
  •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공법
  • 페놀 수요 증가 시 아세톤 생산량도 함께 증가하는 특징이 있음

📌 이소프로판올 산화(Isopropanol Oxidation)

  • 이소프로판올(IPA)을 촉매 산화하여 아세톤을 제조
  • 상대적으로 순도가 높고 추가 공정이 간단함
  • 페놀 생산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아세톤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

📌 발효 공정(Fermentation Process)

  • 미생물을 이용하여 셀룰로오스 또는 전분에서 아세톤을 생성하는 방식
  •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친환경 생산 방식으로 연구 중
  • 아직까지 산업적으로 널리 쓰이진 않지만 지속적인 연구 진행 중

아세톤 제조


🎬 3. 아세톤의 주요 용도

"그렇다면 아세톤은 어디에 사용될까요? 여러분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다양한 용도로 쓰이고 있답니다!"

📌 용매(Solvent) 

  • 페인트, 잉크, 접착제, 니트로셀룰로오스 코팅제
  • 네일 리무버 및 각종 세정제
  • 전자기기 및 반도체 산업에서의 세척 용제
  • 기름때 제거 및 탈지 용도로 사용

📌 화학제품 원료

  • BPA(비스페놀 A):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에폭시 수지 생산
  •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 아크릴 플라스틱(유리 대체 소재) 원료
  • 메틸 이소부틸 케톤(MIBK): 코팅제 및 접착제 용매
  •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제약 및 실험용 용매
  • 이소프로판올(IPA) 생산의 원료

🎬 4. 한국 아세톤 현황

"현재 한국 아세톤 시장은 공급 과잉 문제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LG화학과 금호피앤비가 주도하던 시장에 롯데GS 2025년 7월 본격적으로 가세하면서 업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이들 기업 간의 시장 점유율 싸움이 한국 아세톤 시장의 중요한 변수가 되고 있습니다."

📌 한국 생산 현황

  • 아세톤은 페놀 생산 60% 부산물로 생산됨
  • 금호피앤비와 LG화학 각각 연간 페놀 70 , 아세톤 42 톤을 생산
  • 롯데GS 2025 7월부터 페놀 30 톤을 추가 생산하며, 아세톤 생산량은 연간 18
  • 한국의 아세톤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국내 시장뿐만 아니라 수출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음
  • 중국에서도 페놀·아세톤 설비 증설이 지속되고 있어 글로벌 시장에서도 공급 과잉 상태

📌 기업 경쟁과 시장 변화

  • LG화학과 금호피앤비 기존 아세톤 시장을 주도해 왔으며, 각자 BPA, MIBK, IPA, 이차전지 등의 자가 소비를 통해 공급량을 조절하려는 전략을 취하고 있음
  • 하지만 롯데GS 신규 가세 인해 시장 가격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됨
  • 추가적인 공급량 증가 인해 국내 소비만으로는 과잉 물량 해소가 어려워지며, 수출 시장 확보가 중요한 과제가 전망
  •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해 아세톤 수요 증가 속도가 공급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
  • 친환경 공정 개발 재활용 아세톤 시장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음

"LG화학과 금호피앤비가 선점했던 시장에 롯데GS 뛰어들면서, 한국 아세톤 시장의 경쟁 구도가 크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국내 기업들은 기존 전략을 재조정해야 하는 상황이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합니다. 앞으로 경쟁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지켜보는 것이 중요하겠죠."

아세톤 공장

 

🎬 5. 아세톤, 그 이상의 가치

"아세톤은 단순한 네일 리무버가 아닙니다. 반도체, 화장품, 자동차, 페인트 등 우리 삶 깊숙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만큼 현대 산업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화합물이죠."

"현재 아세톤의 공급 과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친환경 공정 개발과 재활용 기술이 발전하면서 아세톤의 활용 가능성이 더욱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와 혁신이 지속된다면, 아세톤은 단순한 산업용 용매를 넘어 더욱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자리 잡을 것입니다."

"다음 영상에서는 아세톤을 활용해 제조하는 IPA(이소프로판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대해 주세요!"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