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산업관련 이야기

[2월 3주 케미칼 인사이트 ] 글로벌 석유화학 시장, 공급망 불안 속 전략적 변화를 모색하다

장르만케미칼 2025. 2. 23. 09:25
반응형
SMALL

 

 

롯데케미칼 유동성 확보 위해 노력

 

🔥 토탈에너지, 프랑스 및 벨기에 공장에서 불가항력 선언
• 곤프레빌과 펠루이에서 PP, EVA, LLDPE 공급에 대해 불가항력이 선언되었습니다.
• 펠루이에서는 기술적 문제로 재고 부족 및 생산 차질이 발생하였습니다.
• 이로 인해 유럽 내 원자재 및 에너지 가격 압력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동진쎄미켐 텍사스, 반도체 소재 공장 보조금 획득
• DST가 텍사스 반도체 혁신 기금으로 240만 달러의 보조금을 획득하였습니다.
• 주지사 Greg Abbott는 1억 1천만 달러 투자를 통해 공급망 강화가 기대된다고 전하였습니다.
• 동진 USA 자회사는 6개 건물로 구성된 시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Röhm, 1분기에 Texas MMA 신규 설비 가동 예정
• 텍사스 신규 시설에서 MMA 생산이 1분기에 가동될 예정입니다.
• 연간 25만 톤의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초기 운송 차질이 발생하였습니다.
• 생산 후 자격 심사를 진행하며, 상업 판매는 4월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 Huntsman, 유럽 PU systems 설비 폐쇄 및 독일 MA 검토
• 독일 Deggendorf와 영국 King’s Lynn의 PU 시스템 하우스를 폐쇄할 계획입니다.
• 독일 Moers의 무수말레인산 시설은 전략적 검토 중에 있습니다.
• 구조조정을 통해 연간 4천만 달러의 비용 절감 효과를 달성하였습니다.

🏦 롯데케미칼, 파키스탄 PTA 사업 매각
• LCPL 지분 75.01%를 AsiaPak Investments와 Montage Oil에 매각(979억 원 거래)하였습니다.
• 파키스탄의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해 상반기 거래 종료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 비핵심 자산 매각으로 1,275억 원을 확보하였으나 계약 승인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롯데케미칼 PTA

🌍 Mitsui Chemicals 등, CO₂로부터 메탄올 및 p-자일렌 합성 개발 제휴
• Mitsui Chemicals, Kawasaki Heavy Industries, Osaka University가 CO₂를 원료로 합성 실증에 성공하였습니다.
• NEDO 탄소 재활용 실증기지에서 테스트가 진행되었습니다.
• 석유 기반 생산 방식에 비해 배출량을 대폭 줄일 수 있는 결과가 도출되었습니다.

⏹️ 리비아 cracker, 가동 중단 상태 유지
• Ras Lanuf의 Rasco steam cracker는 3월 중순까지 오프라인 상태를 유지할 예정입니다.
• 기술적 문제로 HDPE 생산에 영향이 있으며, 에틸렌 등 주요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1월에 재가동한 PE 라인(LLDPE, HDPE 각 80,000t)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 지중해 및 유럽 시장에서는 공급이 타이트하여 가격 상승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Formosa Chemicals, 중국 솔벤트 플랜트 가동 중단
• Formosa Chemicals Industries(Ningbo) Co.는 기술 문제로 용매 공장을 폐쇄하였습니다.
• 2월 17일부터 재가동 시도를 하였으나 2월 18일 기준으로는 아직 가동되지 않고 있습니다.
• 해당 공장은 연간 40만 톤의 페놀과 25만 톤의 아세톤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Mailiao 공장은 3월 1일부터 약 45일간 폐쇄될 예정입니다.

📊 BASF 및 Dow, 중국산 MDI 반덤핑 관세 부과 요청
• 다우와 BASF는 미국 상무부와 USITC에 중국산 MDI에 대한 ADD 부과를 요청하였습니다.
• 청원서에 따르면 306~507%의 덤핑 마진으로 불공정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주요 대상은 Wanhua Chemical Group이며, 미국 내 MDI 생산능력은 2024년 180만 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트럼프 관세 외 추가 10% 관세 적용 가능성도 제기되었습니다.

📈 세계 PX(Paraxylene) 시장 현황
• 2024년 시장 규모는 832.5억 달러로 평가되며,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11.5% 성장할 전망입니다.
• PTA 부문이 전체 매출의 97.8%를 차지하며, PET 생산 및 포장·섬유 산업의 수요가 주도하고 있습니다.
• 아시아 태평양, 특히 중국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북미와 유럽도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주요 업체들은 생산능력 확장 및 친환경 소재 도입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리바아 가동중지

🔍 중국 PET 수지 시장, 생산 감소에도 미온적인 시장 반응
• 춘절 연휴 이후 페트병 칩 공장은 유지보수 및 재가동을 진행 중이며, 평균 가동률은 약 74.9%입니다.
• 일부 공장은 유지보수 완료 후 가동률이 70% 이하로 떨어질 전망입니다.
• CRC Zhuhai와 Jiangyin 공장 재가동으로 단기 가동률은 72~73%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재고 반등과 미흡한 다운스트림 수요로 가격 상승에도 수익은 낮게 억제될 것으로 보입니다.

🚀 인디아, 2025년에도 양호한 석유화학 수요 기대
• 전기차 부품, 태양광 패널 등 수요 증가로 인하여 석유화학 수요가 견조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Bharat Petroleum과 Indian Oil 등에서는 프로필렌 등 주요 부문에서 탄력적인 수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 중국 및 중동의 공급 과잉으로 글로벌 석유화학 마진은 다소 침체될 우려가 있습니다.
• 인도는 자체 나프타 자급 및 870억 달러 투자를 통해 성장 모멘텀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중국 정유업계, 브라질 및 서아프리카 원유 구매 강화
• 미국산 원유 관세 부과와 러시아·이란에 대한 제재로 인해 소싱이 재편되고 있습니다.
• Vortexa와 Kpler 데이터에 따르면 브라질산 및 앙골라산 원유 수입량이 급증하였습니다.
• Shandong Yulong 등 정유업체들은 대량 구매를 통해 프리미엄 상승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비제재 원유 및 대체 옵션 확보를 통해 공급 안정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 LG화학, 친환경 소재 'PBAT' 공장 가동 중단…사업 효율화
• LG화학은 충남 대산 PBAT 공장의 가동을 중단하고 양산 시점을 연기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 PBAT는 자연 분해가 가능한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경기침체 및 트럼프 행정부의 비친환경 정책으로 시장 성장에 지연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 수익성 중심의 사업 재편 차원에서 해당 결정이 이루어졌습니다.

💼 S-Oil, 샤힌 프로젝트로 석유화학 부문 경영 역량 강화
• S-Oil은 샤픈 프로젝트를 통해 석유화학 부문의 핵심 경영 역량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 기술 혁신과 전략적 개선을 통해 운영 효율성 및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 이를 통해 경쟁력을 제고하고 글로벌 시장에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S OIL 샤힌프로젝트

💻 국내 정유업체, 디지털 전환 및 비용 효율화 추진
• 글로벌 공급 불안 및 원유 가격 상승에 대응하여 비용 효율화와 디지털 전환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하여 공급망 최적화, 재고 관리 및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 이러한 전략은 수익성 개선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업계 전문가들은 디지털 혁신이 장기적 성장의 핵심 요소라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 아람코, 필리핀 유니오일 지분 25% 인수
• 아람코는 필리핀 석유기업 유니오일 페트롤리엄 필리핀의 지분 25% 인수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 이번 인수는 필리핀 고부가가치 연료 시장 진출 및 글로벌 소매 네트워크 확장 전략의 일환입니다.
• 유니오일은 1966년 설립되어 165개의 주유소와 4개의 저장 터미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아람코는 이번 투자를 통해 동남아 시장에서 발보린 브랜드 윤활유 공급도 강화할 계획입니다.

🔋 LG에너지솔루션, 하반기 미국 미시간 공장에서 ESS용 LFP 배터리 생산
• LG에너지솔루션은 미시간 홀랜드 공장 내 증설 부지를 ESS 생산 라인으로 전환할 예정입니다.
• 2조319억 원 규모의 채무보증을 통해 해당 설비투자를 진행 중입니다.
• GM 합작법인 ‘얼티엄셀즈’ 3공장 인수와 관련된 채무보증도 결정되었습니다.
• 북미 생산 재배치를 통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LIST